2025/03/31 2

태풍의 눈처럼… 중원은 과연 한적했습니다.

날씨까지 화창했던 10월 20일 토요일, 서울시내 대형버스 주차장에는 남아있는 관광버스가 한 대도 없었다고 합니다.있다면 고장 차였겠지요. ^^오죽했으면 차를 못 구해서 우등 아닌 중형버스를 타고 갔겠습니까? 산너머살구 6년 만에 처음.충주의 뭐가 좋았느냐?사람이 없어 좋았습니다. 사람들을 가드가득 실은 그 많은 버스는 모두 설악산, 오대산, 내장산으로 가고 충주에는 달랑(?) 우리뿐이었습니다.충주(忠州)는 신라시대 국토의 중앙, 중원이란 뜻이라는데 마치 태풍의 눈처럼 국토의 중앙은 한적했습니다.한적해도 가을에 있어야 할 것들은 다 있었습니다.물론 단풍의 때깔이 설악산, 내장산만 하겠습니까? 눈을 조금 낮춘 대신 한적함을 얻은 거지요. ^^한직함 말고 ^^그래도 즐거웠대요. 표정에 묻어나지요?더 보여드릴..

태백산맥문학관

소설「태백산맥」은 대하소설의 대명사다. 소설의 분량만 해도 200자 원고지 기준 16,500매, 말 그대로 장편을 넘어 큰강(大河)이라고 할 만한 규모의 소설집(10권 1질)이다. 규모도 규모려니와 다양한 인간 군상의 묘사를 통하여 한 시대의 양상을 드러내는 작업이므로 비록 픽션이지만 때로는 역사 서술 이상의 가치를 평가받기도 한다. 도도한 역사의 전개를 흔히 유장한 대하의 흐름에 비유하는 것과도 맥이 닿아있다.그런 조사를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대하역사소설이라는 타이틀에 부합하는 우리나라의 작품을 꼽으라면 많은 사람들이 주저 없이 「태백산맥」과「토지」정도를 찾을 것이다.월간「현대문학」에 연재를 시작할 당시부터 이미 베스트셀러를 예감했던 태백산맥은 소설의 기록적인 인기를 거쳐 이제 우리 시대의 고전이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