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시훈의 테마기행/2016~20년

바람의 나라 14일의 비망록 12.열흘날 – 게르. 몽골의 상징, 몽골인의 보호자, 나그네의 이정표

kocopy 2025. 3. 2. 08:31

들에 널린 허브 향내를 맡으며 술에서 깨본 적이 있는가?
색다른 경험이었지만 허브향을 맡는다고 술이 빨리 깨는 것은 아니다. 다만 허브가 신경안정에 도움을 준다는 말이 괜한 소리는 아닌 듯했다. 덜컹거리는 프루공 안에서도 잠 들 수 있었던 건 아침 내내 맡은 허브향 덕분이리라. 점심때쯤이 되자 술은 다 깼다.

오늘 목적지는 욜인암이라고 했다. 며칠 전 말을 탔던 독수리계곡으로 다시 가는 것이다. 그때와 다른 것은 이젠 울란바타르로 올라가는 여정이다.
욜인암의 숙소에 도착하니 다들 한 마디씩 한다.
최고다.
뜨거운 물도 잘 나온다.
얼마 전까지도 브이아이피들만 오던 곳이라더라.
숙소의 이름은 칸복드(Хаан Богд) 캠프. 몽골의 마지막 황제 이름을 붙인 장소답게 한 수준 높은 시설을 자랑했다. 사람들의 찬사가 이어지는 가운데 한켠에서 뜬금없는 소리가 들려왔다.“와아~ 바다다!”
이게 무슨 소린가 하고 돌아보니 두 팔을 번쩍 치켜든 채 동쪽 평원을 향해 서 있는 한 사람이 보였다.
“내 고향 양양 바닷가랑 똑같아!”

정말 그곳에 바다가 있었다. 양양 앞바다인지는 모르겠으나 숙소에서 동쪽 방향으로 있으니 동해안은 맞는 것 같았다. 초원 너머 푸르스름한 지평선은 그대로 아스라한 수평선이었다.
이곳의 시설이 좀 낫다고는 해도 숙소는 사실 여기나 어디나 대동소이하다. 모두가 게르인 것은 매한가지이다.
게르의 장점은 기동성과 견고성이다.
게르를 조립하는 데는 1시간이면 충분하다.
게르의 조립과 해체를 익숙하게 반복하다보니 몽골인들의 퍼즐 맞추기 실력이 세계최고라는 말이 꽤 설득력있게 들린다. 이렇게 해체한 게르를 우마차에 싣거나 낙타 2~3마리에게 얹으면 바로 이동을 할 수 있다. 흔적도 없는 야반도주가 몽골에서는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물론 요즘은 소나 낙타보다 트럭을 더 많이 이용한다.
이렇듯 간편하게 해체, 조립한다고 해서 게르를 1박 2일용 텐트쯤으로 생각해선 곤란하다. 돔의 형태를 띠는 게르 특유의 안정적인 구조는 정주가옥 저리 가랄 정도의 견고성을 자랑한다. 비바람에 게르가 날아갔다는 얘기를 아직 들어보지 못했다.
이 놀라운 4계절 주택은 영하 40°에도 영상 40°에도 끄떡없이 거주자를 보호한다.
그리고 또 한 가지! 게르의 하나밖에 없는 문은 예외 없이 남쪽으로 향한다. 이건 마치 밤하늘의 북두칠성처럼 나그네의 이정표로 삼아도 무방하다.

시설 좋은 샤워장에서 제대로 된 샤워를 한 후 모처럼 일찍 잠자리에 들었다. 어제 만취했으니까 오늘은 쉬어야지.
좀 전까지 불던 서풍이 별안간 남풍으로 바뀌었는지 게르문이 덜컹 덜컹 흔들린다.
“노쌤! 벌써 자는 거 아니죠? 35호에 사람들 모였어요!”
게르는 방음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젤 큰 문제였다.
“자긴요! 금방 갈게요!”
그보다는 팔랑거리는 내 귀가 더 큰 문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