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구름 꽃구름 시원한 바람에
양떼들 풀파도 언덕을 넘는다
달콤한 흙내음 대지의 자장가
송아지 나무아래 낮잠을 잔다
노래 가사 같은 그런 풍경이 있긴 있더이다.
그것도 강원도 평창에만 3군데가 있습니다.
차례로 가보실까요?
대관령 양 맞냐고요? 미안합니다. 몽골의 양과 염소 떼입니다.
얘가 대관령 양입니다.
양들이 놀고 있는 이곳은 자칭 '한국의 알프스'입니다. 험하지 않은 구릉지에 양떼가 풀을 뜯고 있으니 그렇게도 보입니다.
한국의 알프스는 여기 말고도 몇 군데가 더 있습니다. 먼저 국립공원 소백산도 '한국의 알프스'라 불립니다. 철쭉으로 유명한 비로봉 정상에는 넓은 초지가 펼쳐져 있고 산 여기저기 야생화가 지천입니다. 알프스도 마찬가지로 허브로 유명하잖아요. 또 의외로 칠갑산이 한국의 알프스라 불립니다. 설경이 아름다워서 그런가보다 싶긴 한데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혹시 알프스에도 콩밭 매는 아낙네가 있는지… 만일 그렇다면 알프스가 '스위스의 칠갑산'이지! (허걱! 콩밭 매는 아낙네는 그럼 하이디?) 그리고 경상도의 동남쪽 일대 산악군을 영남알프스라고 합니다. 경주, 청도, 울산, 밀양, 양산에 걸쳐 있는 8개 산을 묶어 그리 부른다고 합니다. 영남알프스가 위키백과에도 실린 걸 보면 꽤 보편화된 명칭인가 봅니다.
알프스의 양들이 밥 먹는 시간입니다. 사실, 얘들 식사 시간은 따로 없습니다. 목장 들어올 때 어른 기준 6,000원을 내는데 이걸 입장료라고 하지 않고 건초 구입비라고 합니다. 입장하면 건초는 무조건 주는 거니까, 내가 먹을 게 아니면 양에게 주는 수밖에 없습니다. 이 녀석들 대식가던데요. 배부르다고 그만 먹겠다는 녀석 없습니다. 주는 대로 꾸역꾸역. '이것들 혹시 양의 탈을 쓴 돼지?'
양떼목장을 하산하는 길에 아이들이 그럽니다, 양이 흰색이 아니라고.
그렇습니다. 목장에 흰색 털 가진 양은 한 녀석도 없습니다. 죄다 회갈색입니다.
"마! 목욕 좀 해!"
"어차피 이발할 건데 왜 해?"
대관령에 양떼목장이 또 있습니다. 이곳에서 직선거리로 채 5km가 안 되는 곳에 대관령삼양목장이 있습니다. 산을 타고 갈 수는 없고, 자동차로 가자면 30분쯤 걸립니다. 같은 이름의 식품회사에서 운영하는 목장인데 사실 양보다는 소를 더 많이 기르고 있다네요. 동해전망대에서 탁 트인 바다를 바라볼 수 있고 이 회사의 라면과 과자를 먹어볼 수도 있습니다. 목장이 넓은 대신 입장료는 어른 기준 9,000원입니다.
목장의 규모가 꽤 큰지라 산 정상의 동해전망대까지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있습니다. 올라갈 때는 셔틀로, 내려올 때는 산책로로 걸어내려오는 사람들이 제일 많습니다.
시간을 맞춰 가면 주중 4회, 주말 5회 양몰이 공연도 관람할 수 있습니다. 개 중에 머리가 가장 좋다는 보더콜리가 양몰이 개로 근무(?) 중이었는데 고놈 참 똑똑하긴 하더군요. ^^
양에게 건초 주기 체험 외에도 송아지에게 우유 먹이기, 타조에게 모이 먹이기 등도 준비돼 있습니다.
또다른 양떼목장은 대관령하늘농장입니다. 삼양목장 가기 조금 전에 있어요.
40여 년 동안 외지인의 발길이 닿지 않았던 드넓은 목장이 하늘에 닿아있습니다. 방목 중인 젖소와 말, 양떼 곁에 직접 다가갈 수 있으며 트랙터 마차를 타고 바라보는 정상의 모습은 단연 압권입니다.
양들 먹이라고 건초 자판기가 준비돼 있으며, 말들 먹이라고 막대기에 꽂은 당근 판매 코너가 마련돼 있습니다.
이곳의 특징은 다른 목장과는 달리 방목지에 들어가 직접 양들과 접하며 먹이를 줄 수 있다는 것 외에 반려견과 함께 입장할 수도 있습니다. 입장료는 성인 기준 7,000원입니다.
건초가 모두 떨어졌으니 이제 양들을 뵐 낯이 없습니다. 이때쯤 목장을 일주하는 산책길을 걷기 시작하면 됩니다. 천천히 걸어도 1시간이면 충분하니까요. 봄엔 야생화와 철쭉, 가을엔 단풍, 겨울엔 눈 쌓인 능선을 구경할 수 있습니다.
철쭉 얘기가 나왔으니 말인데 양과 철쭉은 인연이 깊습니다. 지리산 바래봉은 매년 봄이면 철쭉꽃의 장관을 찾아오는 상춘객들로 발 디딜 틈이 없는 곳인데, 이걸 양들이 만들었다고 하네요. 서구의 선진 농축수산업을 들여와 우리도 그들처럼 잘 살아보자던 1970년대 초, 호주와 합작으로 바래봉의 나무를 베고 초지를 조성해서 양떼를 방목했습니다. 그런데 양들이 모든 풀들, 심지어 연한 나무까지 다 뜯어먹으면서 유독 철쭉만은 먹지 않았다고 해요. 진달래와는 달리 철쭉에는 독이 있다는데 그걸 양들이 알고 안 먹었다는 거지요. 그래서 광활한 철쭉 군락지가 만들어졌고 입소문을 타고 봄이면 철쭉 구경꾼들이 몰려들기 시작했습니다. 진달래와 철쭉을 구별하기 힘드신 분들은, 면양을 동반해보면 귀신같이 구별해 줄 겁니다. ^^
이상 평창에 위치한 3곳의 대관령양떼목장이었습니다. 메에~~~